본문 바로가기

불교 문화재 사전

탑의 층 수 세는 법

오래 전 불국사에 갔을 때 이야기이다. 석가탑 앞에 서 있는데 초등학교 고학년 쯤으로 보이는 아들과 아버지가 표지판 앞에 서서 하는 이야기다.

"아빠 여기는 3층이라 하는데 내가 보기에는 4층인데"

"설명문이 잘못 되었어."

 

이처럼 문화재 표지판은 어렵다. 용어가 온통 한자어인데다가 전문용어-아래 사진을 보면-들이 많아 우리말이 아닌 것 같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석탑의 층수를 세어보는데 위의 아이처럼 실수하는걸 많이 본다. 

법주사 팔상전이다. 나무로 만든 탑 즉 목탑(木塔)이다. 층수를 세어보자.

법주사 팔상전

다음은 미륵사지 탑이다. 목탑을 석탑의 형태로 옮긴 것이다. 하나는 원형 그대로이고 다른 하나는 원형을 토대로 복원한 것이다. 층수를 세어보자.

익산 미륵사지 석탑

법주사팔상전은 5층이고 익산미륵사지탑은 9층일 거라고 추정하여 복원한 것이다. 

경주 감은사석탑, 노반과 찰주(오른쪽 사진은 문화재청에서 가져왔다.)

몇 층으로  보이나? 3층으로 답했다면 정답이다. 

아래 평평한 덮개를 가지고 있는 건 기단부 즉 기초부분이다. 탑의 상승감을 주기 위해 2단으로 만들었다. 그 위부터가 층수에 들어간다. 기와지붕처럼 경사가 있고 그 아래에는 역층계(3~5)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일 위에 있는 것-오른쪽 사진-은 노반이라 한다. 층수를 세는데서는 빼도록 하자.

그래서 이 석탑은 3층인 것이다. 

팁> 오른쪽 쇠기둥: 찰주라 한다. 석가탑에서처럼 노반위에 장식을 하는데 크그가 작으니 중앙에 구멍을 내고 쇠기둥에 끼우는 것이다. 세월이 지나면서 약한 부분이 일찍 떨어져나가고 이 부분만 남은 것이다. 혹자는 피뢰칩이라 하는데 그건 아니다.